전체 글27 반어법을 즐기는 영국인 반어법이 축소해서 말하기와 크게 다른 것은, 축소해서 말하기가 메시지의 미묘한 의미 전달이지만, 반어법은 그 말이 의미하는 것이 정반대라는 사실이다. 예를 들어서기를 타다가 어떤 사람이 다리가 부러졌다고 하자. 그는 분명히 심한 고통을 받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도 그는 기분이 썩 좋은 편이 아니라며 축소해서 말할 것이다. 반어법만큼 타인을 모욕하는 데 적절한 수사법도 없을 것이다. 직설적인 언어 사용에 익숙한 한국인들에게 반어법을 즐겨 쓰는 영국인들은 이해하기 어려운 민족일지도 모른다. 영국인들이 남을 모욕할 때 반어법을 즐겨 사용하는 이유 중의 하나는 모욕적인 의도를 상대방이 알지 못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 경우 그 모욕적인 표현은 더욱더 그 진가를 발휘하게 된다. 축소법을 즐겨 사용하는 영국인들의 .. 2022. 5. 14. 표현법과 대화법의 상이함 가치관이나 사고방식의 차이는 표현법에 그대로 반영된다. 표현법은 언어적 표현법과 비언어적 표현법으로 구분되는데, 먼저 언어적 표현법의 차이에 대하여 살펴보자. 언어적 표현법에는 언어적인 수단과 비언어적인 수단이 존재한다. 비언어적인 수단에 대해서는 8장 언어 이외의 언어에서 자세히 다루기로 하자. 여기에서는 대화법의 차이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자. 미국인과 일본인의 대화법상의 차이를 연구한 철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차이를 기술할 수 있다. 동등한 입장에서 대화한다. 양자택일. 신속하고 정확하다. 토론이나 투표한다. 위계 의식을 가지고 참여한다. 양자가 조화를 이룬다. 더디고 애매모호하다. 감정이입이나 합의에 이른다. 위의 표를 비교하면 한국인의 대화법은 일본인들과 유사한 점이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 2022. 5. 13. 가치관과 사고방식의 상이함 미국인의 가치관은 다음과 같다. 개인이 환경을 지배한다. 변화는 불가피하고 바람직하다. 모든 인간에게 기회는 균등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개인주의가 기본적인 삶의 방식이다. 사고방식이 미래지향적이다. 사고방식이 행동 지향적이다. 행동의 직접성과 개방성이 강조된다. 모든 행동에 있어서 실용성을 중시한다. 행동 하나하나가 실질적이고 이성적이어야 한다. 기본적이고 사고방식이 문제 해결적이다. 원인과 결과라는 논리 법이 사고방식의 기본이 되고 있다. 모든 행동이 다분히 비형식적이다. 개인 간의 경쟁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뭐든지 손수 하는 버릇이 없다. 자연이 인간을 지배한다. 변화하지 않고 전통적인 것이 좋은 것이다. 사회구조가 위계적이어서 사회적 계층이 그대로 남아 있다. 사회생활에 있어서 상호의존성과 개별성이.. 2022. 5. 13. 문화가 다른 언어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 우리는 외국어를 학습하면서 해당 외국어로 대화할 때, 많은 장애에 부딪혀 의사소통에 애를 먹곤 한다. 그럴 경우 그 원인을 어학 실력의 부족으로 돌리는데, 곰곰이 따져보면 어학 실력의 차이만이 의사소통의 근본적인 원인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외국어로 현지인과 대화를 해본 사람은 대화의 중단이 어휘와 표현법의 부족에 기인하기도 하지만 그 원인이 설명하기 어려운 다른 곳에 있음을 막연히 짐작할 뿐이다. 그렇다면 문제는 어디에 있는 것일까? 예를 하나 들어 보자. 우리 사회는 개인주의적 사회이기보다는 집단을 중시하는 사회이다. 언어는 흔히 사회의 거울이라고 말한다. 그러므로 집단을 중시하는 우리의 전통은 언어에도 분명히 그 흔적을 남겨 놓았을 것이다. 그 증거로 한국어에는 일인칭 대명사 주어가 거의 등.. 2022. 5. 13.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