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어학27

단군 신화 한민족의 신화 단군 신화는 우리 민족의 건국 신화이다. 우리는 단군 시화를 통하여 우리의 조상들이 어떻게 나라를 세웠고, 어떤 통치 이념을 통해 백성들을 다스렸는지 알 수 있다. 물론 신화의 사실성 여부는 우리의 관심이 아니며, 단군 신화를 신화의 관점에서 조망해보는 것에 만족한다. 신화의 구성과 그 연결 고리들은 신화를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환인, 환웅, 곰, 호랑이, 신단수, 삼위태백, 아사달, 쑥, 마늘 등 단군 신화의 구성 요소들은 다양하다. 그런데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들과 지명 그리고 동물 등은 어떻게 연결되어 있을까? 단군 신화의 정정은 곰이 37일 만에 웅녀가 되는 장면과 단군왕검이 웅녀로부터 태어나는 장면이다. 그런데 왜 하필 곰일까? 이 글에서는 곰이 의미하는 것에.. 2022. 5. 19.
어떻게 신화를 이해할 것인가? 2 구조주의적 접근 신화를 구조주의적인 관점에서 접근한 학자는 진술한 바와 같이 프랑스의 문화 인류학자 레비스트로스이다. 그는 언어학에서 유래한 구조주의의 개념을 인류학과 신화학에 응용한 학자라고 언급한 바 있다. 그는 브라질의 상파울루 대학에서 인류학을 가르치면서 아마존 인디언들의 신화를 면밀하게 연구했다. 그중에서 8백여 개의 신화를 골라 치밀한 분석을 한 뒤에 신화를 구성하고 있는 복잡한 코드의 조합을 발견하여 그들의 상호관계를 밝혀냈다. 마치 구조주의 언어학자들이 인간 언어의 자음과 모음을 이항 대립으로 체계화한 것처럼 레비스트로스는 신화의 구조를 형식적인 대립의 관계로 파악한 것이다. 레비스트로스가 시도한 신화 분석의 예시를 보자. 레비스트로스는 신화의 구성 요소들을 분리한 다음 그 요소들을 대립시.. 2022. 5. 19.
어떻게 신화를 이해할 것인가? ‘신화는 믿는 것이 아니라, 품어서 이해하는 것이다’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신화란 겉으로 드러난 이야기가 그 전부가 아니라, 행간에 존재하는 무엇인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로 이해할 수 있다. 신화의 올바른 이해는 신화의 본질을 파악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이제 신화를 이해하는 방법론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외형적인 신화 이해 신화를 외부적 요인과 연결하여 해석하려는 방법이다. 이러한 시도는 자연 현상, 풍습과 사물의 기원 등의 원인을 신화와 연결하여 설명하려고 한다. 구체적인 신화의 해석 방법을 보기로 하자. 첫 번째는 자연 신화이다. 자연 신화의 관점은 신화를 자연 현상의 알레고리로 해석하는 방법이다. 그리스 신화는 자연 신화의 관점에서는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즉, 제우스는 .. 2022. 5. 18.
신화의 비밀 2 신화적 사고 구조인류학의 창시자 레비스트로스는 신화적 사고의 이해를 위해 야생의 사고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야생의 사고는 문명인들의 사고와 본질적으로 다른 미개의 사고가 존재한다는 환상을 해체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다시 말해 문명인들이 미개인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의 사고가 전혀 미개하지 않다는 것이다. 레비스트로스는 야생의 사고를 신화적 사고 혹은 구체의 논리로 표현되는 사고라고 설명한다. 그는 또한 야생의 사고가 문명인의 사고와 대립하는 것이 아니고 문명인이 가진 사고의 일부라고 설명한다. 문명의 사고를 추상의 과학이라고 한다면 주술적이고 감각적인 미개인의 사고는 구체적인 과학이라고 할 수 있으며, 다른 표현으로는 신화적 사고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mythos의 신화는 로고스적인 방법으로 접근하기.. 2022. 5. 18.